본문 바로가기

물리4

밀도, 부피 제대로 알아? (순서대로 보셔야 이해가 됩니다) 고체 < 액체 < 기체 순으로 '부피'는 커집니다. 그리고 '밀도'는 작아지죠. (ㅇ..?) 괜찮습니다! 이 글을 다 읽고 나면 저게 무슨 말인지 알 수 있습니다!! 😉 먼저 '부피'는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입니다. 개미와 곰 중 누가 더 크죠? 곰이 훨씬 더 크죠.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네요? 곰이 부피가 큰 겁니다. 끝났습니다. 이번엔 고체, 액체, 기체들의 부피를 보겠습니다. 어떤 게 부피가 가장 크죠? 너 무 쉽 다 똑같은 개수, 종류에 입자들이 더 넓은 공간을 차지할수록 부피가 크겠죠? 가장 큰 공간을 차지하는 건? 기체입니다. 그래서 고체 2023. 7. 5.
유체가 뭐야? (고체, 액체, 기체) ' 물체가 유체 속에 잠겨있을 때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물체를 밀어 올리려는 힘.' 출처-나무위키 먼저 '유체'란 기체, 액체를 말합니다! 유체는 말 그대로 흐르는 성질이 있는 것. 기체나 액체는 고체처럼 고정되어있지 않고 흘러서 모양이 계속 바뀌기 때문에 '흐를 유'를 써서 '유체'인 겁니다. 그렇다면 '기체, 액체'는 뭘까요? 유체 즉, 기체, 액체가 뭔지 제대로 뿌셔 버리러 가즈아 이 세상 물질들을 세 가지 상태로 존재합니다. 고체, 액체, 기체 우리가 알고 있듯이, 고체는 딱딱한 것들 , 액체는 '물', 기체는 '공기' 죠 셋은 전혀 다르게 생겼지만 사실 셋은 같은 것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ㅇ?) 우리는 이미 알고 있어요 얼음은 고체죠. 얼음을 녹이면 액체인 물이 되고. 끓이면 수증기인 기체가.. 2023. 7. 4.
탄성력 마스터 해버리기 탄성력은 '원래대로 돌아가려는 힘'입니다 탄성력을 가진 물체들을 생각해 보면 용수철, 고무줄 같은 것들을 보면 우리가 늘리거나 뭔가를 했을 때 원래 모습으로 돌아가려고 한다. 그게 바로 탄성력이고 , 이렇게 탄성력을 가진 물체들을 탄성체 라고 한다. 끝. ( easy~ ) 그런데 이렇게만 알면 탄성력을 공부한 기분이 안 드니까, 좀 뭔가 어려워 보이는 영어 식이라도 보면 공부한 기분이 들 겁니다😎 ( 걱정 마세요 쉽습니다 ) F = - kx '훅의 법칙'입니다. 로버트 훅이라는 분이 만드셔서 훅의 법칙입니다 영어로 쓰여있어서 뭔가 엄청나고 어려워 보이지만 한국말로 바꾸면 친숙해집니다. 'F'는 '힘'입니다 (Force) 'k'는 탄성체의 탄성력 정도를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작고 얕은 용수철은 탄성력이 약.. 2023. 6. 30.
무게와 질량 , 만유인력의 법칙 까지 마스터 해버리기 무게와 질량을 정확하게 아십니까? 혹시 질량이 크면 무겁고 질량이 작으면 가볍다 이렇게 알고 계십니까? 뭐 맞는 말이긴 한데.. 지금 우리가 몸무게를 말할 때 쓰는 '~kg'이라는 단위는 사실 '무게'가 아닌 '질량'의 단위입니다. 이건 몰랐죠?😎 무게와 질량이 뭔지 정확하게 알아보고, 몸무게는 무슨 단위인지까지 제대로 알려드리겠습니다. '무게'는 지구가 어떤 물체를 잡아당기는 힘의 크기를 말합니다. 중력의 크기인 것이죠. 우리가 무겁다고 말하는 것들은 지구가 세게 잡아당기기 때문에 우리가 무겁다고 느끼는 것입니다. 반대로 지구가 약하게 잡아당기면 우리는 가볍다고 느낍니다 예를 들어서 볼링공은 엄청 무겁고 탁구공은 가볍다고 느끼는 것은 지구가 볼링공은 세게 잡아당기고 있고 탁구공은 약하게 잡아당기고 있기.. 2023.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