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물리

탄성력 마스터 해버리기

by 껌정모자 2023. 6. 30.

탄성력은 '원래대로 돌아가려는 힘'입니다

 

출처-네이버  지식백과

 

탄성력을 가진 물체들을 생각해 보면

 

용수철, 고무줄 같은 것들을 보면 우리가 늘리거나 뭔가를 했을 때 원래 모습으로 돌아가려고 한다. 

 

그게 바로 탄성력이고 , 이렇게 탄성력을 가진 물체들을 탄성체 라고 한다.

 

끝. 

( easy~ ) 

 

그런데 이렇게만 알면 탄성력을 공부한 기분이 안 드니까,

좀 뭔가 어려워 보이는 영어 식이라도 보면 공부한 기분이 들 겁니다😎 ( 걱정 마세요 쉽습니다 ) 

 

F = - kx

'훅의 법칙'입니다. 

로버트 훅이라는 분이 만드셔서 훅의 법칙입니다

 

영어로 쓰여있어서 뭔가 엄청나고 어려워 보이지만 한국말로 바꾸면 친숙해집니다.

 

'F'는 '힘'입니다 (Force)

 

'k'는 탄성체의 탄성력 정도를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작고 얕은 용수철은 탄성력이 약할 것이고 

크고 뜨거운 용수철은 탄성력이 강할 것입니다.

이렇게 각각 탄성력이 다르기 때문에 하나로 고정된 값을 넣지 않고 각각 상황에 맞춰 숫자를 넣는 겁니다.

(당연히 탄성력이 세면 큰 숫자를, 탄성력이 약하면 작은 숫자를 넣겠죠!! )

 

'x'는 변형된 길이입니다.

세게 잡아당기면 많이 변형이 되고, 약하게 잡아당기면 조금만 변형이 되는 것이죠

당연히 세게 잡아당기면 많이 늘어나니까 더 숫자가 커지겠죠?

잘 모르겠다면 활시위를 상상해 보는 겁니다. (당연히 더 많이 늘리면 탄성력이 커지겠죠?)

 

'-'는 방향을 의미합니다.

내가 힘을 줘서 늘린 방향에 반대로 탄성력은 작용하기 때문에 

반대라는 의미로 '-'가 사용된 것입니다.

 

정리하면 탄성력은 용수철이 강할수록, 그리고 많이 늘릴수록 탄성력은 강해진다는 것입니다.

너무 당연한 말을 했습니다.

 

그런데 이것만 읽고 탄성력을 높이려고 계속 끝도 없이 늘리면 원래대로 돌아가는 탄성력이 없어질 수 있습니다.

 

고물줄이나 용수철, 활시위를 보면 계속 끝도 없이 당기다 보면 어느 순간 '툭'하고 끊어집니다.

 

이게 바로 '탄성한계'라는 것입니다.

 

탄성력은 탄성한계 내에서만 작동한다는 것이죠 

그냥 쉽게 말하면 끊어지기 전까지만 늘려야 탄성력이 작동한다는 것입니다.

(이것도 너무 당연한 말)

 

 

 

오늘도 이렇게 해서 '탄성력'까지 마스터를 해버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