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2 산성, 산... 분명 많이 들어봤는데 정확하게 뭐야? '산성' 분명 많이 들어봤는데 구체적으로 산성이 뭐고,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산성은 '산'이 나타내는 성질을 말합니다. 즉 '산'을 알아야 하는 것이죠 ㅎㅎ (산성은 '산'의 성질을 나타내는 말일뿐이니까요) 일단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산' 혹은 '산성'이라고 하면 보통 어떤 생각이 떠오르나요? 저는 신맛이 난다! , 뭔가 녹일 것 같다!! 이 정도로만 알고 있었어요 실제로 제가 알고 있는 저것들이 '산'이 맞습니다 ㅎㅎ '산'은 신맛이 납니다. 그래서 '산'이 들어간 것들을 먹어보면 신맛이 나죠. (물론 먹으면 안 되는 것들도 당연히 있습니다) 식초에는 '아세트산'이 들어가 있어서 신맛이 나는 거죠 레몬에는' 시트르산(=구연산)'이 들어가 있습니다. 애초에 '산'이라는 말이 '시다'라는 뜻을 .. 2023. 8. 22. 소금물은 전기가 통하고, 설탕물은 전기가 안 통한다고? ( 전해질, 비전해질, 이온화 ) 소금과 설탕이 고체상태에서 전기가 통할까? 안 통합니다. 그러면 소금과 설탕을 물에 녹이면 전기가 통할까? 소금물은 전기가 통하지만 설탕물은 전기가 안 통한다~ 소금물처럼 물에 녹였을 때 전류가 흐르면 '전해질' 설탕물처럼 물에 녹이고 전류가 안 흐르면 '비전해질'이라고 하죠 소금 = 전해질 설탕 = 비전해질 그러면 왜 그런지 알아야겠죠? 소금은 '이온 결합 물질'입니다 ㅇㅇ.....? '이온 결합 물질' 말이 어려워 보이지만 진짜 별거 아니에요 저번시간에 '이온' 배운 것 기억하시죠? - 혹은 + 전하를 띄게 되면 '이온'이라고 부른다고 했습니다. 그리고 다들 알다시피 +와 -는 서로 잡아당기는 인력이 존재하죠 즉 이온 결합 물질은 말 그대로 이온끼리 결합해서 만들어진 물질이라는 겁니다. 예를 들어서 .. 2023. 8. 20. 용해도? 용질? 용매? 용액? 쉽게 이해하기 용질.. 용매? 용액, 용해도... 음....? 저게 무슨 말일 까요 분명 많이 본 말인데... 사실 저 용어들을 달달 외울 필요는 크게 없다고 저는 생각해요. 그런데도 제가 굳이 용해도에 대해서 쓰는 이유는 용해도라는 단어를 외우는 것이 아니라. 용해도가 뭔지 그리고 어떨 때 용해도가 높아지는지가 중요하고 우리가 일상 속에서 많이 쓰고 있어서 가져왔습니다. 어려운 말 저리 멀리 치우고 일단 우리 일상 속에서부터 용해도를 찾아보도록 하죠 우리가 믹스커피를 뜯어서 타먹거나 아이스티가루를 녹여서 타먹을 때 뜨거운 물에 녹이는 게 잘 녹을까요? 차가운 물에 녹이는 게 잘 녹을까요? 우리는 모두 생활경험을 통해서 몸으로 배웠습니다. 뜨거운 물에다가 녹이는 것이 훨씬 빨리 잘 녹죠 이것이 바로 오늘 배울 '용해도.. 2023. 8. 19. 아보가드로 법칙,기체 반응 법칙 외우지 말고 이해하기 오늘은 모두 '기체'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아보가드로 법칙 너무 쉽고 재밌습니다ㅎㅎ (저는요) 아보가드로 법칙은 모든 기체는 압력과 온도가 같으면 같은 부피 속에 같은 입자 개수가 있다는 말입니다. 음.. 말이 어렵죠? 일단 조건이 있어요. 기체의 부피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압력과 온도가 같아야 합니다. (왜 압력과 온도가 같아야 하는지는 제가 너무 많이 설명했죠?) 그리고 똑같은 상자 안에 압력, 온도가 일정하게 만들어 놓고 그 안에 서로 다른 종류의 기체들을 넣으면 놀랍게도 그 안에 들어있는 기체입자들의 개수가 동일하다는 겁니다 어떤 종류든 상관없이 기체라면! 그리고 같은 온도와 압력이라면! 즉 다시 말하면 어떤 종류의 기체든 분자개수가 같다면 부피는 같다는 말입니다. 수증기든 이산화탄소든 질소든 뭐.. 2023. 8. 17. 화학반응식, 질량보존의 법칙 , 일정성분비 법칙 그냥 이해하기 오늘은 화학반응식, 질량보존법칙, 일정성분비 법칙 등 정말 무서워 보이지만 사실 알고 나면 정말 별거 아닙니다. 제가 처음 이것들을 접했을 때 이름 보고 겁먹었는데 내용을 알고 나니 정말 이름도 잘 만들었더라고요 ㅎㅎ 일단 화학반응식을 볼 줄 알게 되면 앞으로 이상한 문자(?)가 나올 때 더이상 무섭지 않게 됩니다. 이 화학반응식을 알고 나면 오히려 화학반응식으로 설명하는게 훨씬 쉽다고 느끼게 됩니다. (전 그랬어요) 진짜 별거 없습니다. 일단 먼저 물리변화와 화학변화를 알고가면 이해하는데 좀 도움이 됩니다. 물리변화는 말 그대로 물리적으로 변화한다는 말입니다. 예를 들면 컵이 깨짐. 아이스크림이 녹는다. 물이 얼음이 된다. 말그대로 물리적으로 변하는 것들이죠. 이것들의 공통점을 보면 얘네들은 입자(분자.. 2023. 8. 15. 압력밥솥으로 밥을 하는 이유, 산에서 밥을 하면 설익는 이유 '산에서 밥을 하면 설익서(덜 익어)' 이런 말 들어보신 적이 있다거나 높은 산에 자주 가셔서 밥을 해 드시거나 높은 산에 사셔서 밥을... ( 그만하겠습니다) 혹은 왜 굳이 압력밥솥을 돈 주고 사서 그걸로 밥을 해 먹는지 궁금하신 적 있으신가요? 없으셔도 읽으면 재밌습니다. 왜 압력밥솥으로 밥을 할까? 그리고 산에 올라가면 밥이 설익는다고들 많이 한다 그건 왜 그러는지 알아보도록 해요😋 일단, 각각 물질들은 고유한 끓는점과 어는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쉽게 이야기하면 물의 끓는점과 어는점 철의 끓는점과 어는점 산소의 끓는점과 어는점이 다르죠. 끓는점? 어는점? 저번에 ‘상태변화’ 때 설명한 적이 있는데 그래서 여기서는 아주 간단하게만 설명하겠습니다 (자세히 알고 싶은 사람은 여기로 https://blac.. 2023. 8. 11. 지구온난화 때문에 해수면이 높아지는 이유 제가 유튜브와 틱톡영상에서 '해수면이 상승하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 적이 있는데 제가 잘못된 정보로 알려드렸습니다 정말 죄송합니다. 잘못된 정보를 알려드린 것은 분명 잘못한 일입니다. 하지만 그보다 더욱 잘못된 것은 잘못된 것을 인정하지 않고 수정하고 나아가지 않는 것이 더 잘못된 일이라고 생각해서 제가 다시 공부를 하고 제대로 된 정보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해수면이 상승하는 이유' 그때는 빙하가 녹는다고 해수면이 상승하지 않는다!라고 했습니다. 이건 틀린 말입니다! 정확하게는 '빙산'이 녹는다고 해수면이 상승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은 상승합니다. 빙하?, 빙산? 많이 헷갈리실 텐데 별거 없습니다. 빙하는 땅 위에 눈이 계속 쌓이고 쌓여서 얼음이 된 것들입니다. 땅 위에 눈이 계.. 2023. 8. 9. '이온'이 뭐야? '이온' 진짜 너무 별거 없습니다. 원자 기억나시죠? 거기에 전자가 있었잖아요. 이 전자들이 엄청 가벼워서 나가거나, 들어옵니다. 원자는 원래 양성자(+)와 전자(-) 개수가 똑같아서 '중성'이라고 했죠 그런데 전자가 원자 안으로 더 들어오거나 원자 밖으로 나가면? 전자( - )의 개수가 당연히 달라지겠죠 그래서 원자에 +가 더 많으면 +전하(전기)를 띄고 - 가 더 많으면 -전하(전기)를 띄는 겁니다. 예를 들어 +4개 -4개였는데 전자(-)가 2개가 나가서 전자(-)가 2개가 된 겁니다. 그러면 +4, -2니까 +2가 되는 것이죠 이렇게 전자가 나가고 들어와서 +와 - 의 개수가 달라져서 +나 - 전하를 띄게 되면 이때부터 '이온'이라고 부르는 거죠 전자와 양성자의 개수가 같아서 전기적으로 그냥 중성.. 2023. 8. 9. 물 위에 어떻게 뜨는거야? (부력) 이 시간을 위해 지금까지 달려왔습니다 ㅎㅎ (이 글을 읽는데 이해가 안된다면 제가 지금까지 올린 글들을 순서대로 읽고 나시면 무조건 이해가 될 거예요) 배가 어떻게 물 위에 뜰 수 있는 걸까요? 부력이 도대체 정확하게 뭘까요? 부력은 유체가 밀어 올리는, 띄어 올리는 힘입니다. 유체는 액체나 기체같이 흐르는 성질이 있는 것을 말합니다. (고체처럼 고정된 모양이 있는 게 아니라 모양이 계속 변하는 것들)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이 그림을 먼저 보겠습니다. 제가 20kg짜리 봉을 들고 있습니다. 저는 20kg까지 들 수 있는 거죠 저는 위로 밀어 올리는 힘이 20kg인 겁니다. 여기서 10kg을 빼서 10kg짜리 봉이라면? 당연히 들 수 있겠죠. 하지만 10kg을 추가해서 30kg을 만든다면 저는 들 수 없을.. 2023. 8. 6. 분자는 또 뭐야? 분자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가장 작은 단위입니다! 음... 이렇게 말하면 저도 무슨 말인지 모를 것 같네요. 분명 원자랑 원소도 가장 작은 단위라더니.. 이렇게 뭔가 학문적(?)으로 외우게 되면 오히려 이해하기가 어려워요(저는) 원자, 원소는 저번글에서 설명을 한 번 했었으니까 여기서는 넘어가서 분자와의 차이만 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것은 '입자'로 이루어져 있다고 얘기했어요. 그리고 그 입자가 바로 '분자'입니다. 물을 보면 이게 바로 물 분자입니다. 이 물 분자는 H(수소), O(산소)라는 원자, 원소들로 이루어져 있어요. (이 표를 보면 1번이 H(수소) 8번이 O(산소)인 것을 볼 수 있어요 앞으로 원소들이 계속 나올 텐데 겁먹지 마시고 이 표를 보면 됩니다 ) 즉 H, O가 저런 모양으로 결합.. 2023. 8. 1.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