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산2 산성, 산... 분명 많이 들어봤는데 정확하게 뭐야? '산성' 분명 많이 들어봤는데 구체적으로 산성이 뭐고,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산성은 '산'이 나타내는 성질을 말합니다. 즉 '산'을 알아야 하는 것이죠 ㅎㅎ (산성은 '산'의 성질을 나타내는 말일뿐이니까요) 일단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산' 혹은 '산성'이라고 하면 보통 어떤 생각이 떠오르나요? 저는 신맛이 난다! , 뭔가 녹일 것 같다!! 이 정도로만 알고 있었어요 실제로 제가 알고 있는 저것들이 '산'이 맞습니다 ㅎㅎ '산'은 신맛이 납니다. 그래서 '산'이 들어간 것들을 먹어보면 신맛이 나죠. (물론 먹으면 안 되는 것들도 당연히 있습니다) 식초에는 '아세트산'이 들어가 있어서 신맛이 나는 거죠 레몬에는' 시트르산(=구연산)'이 들어가 있습니다. 애초에 '산'이라는 말이 '시다'라는 뜻을 .. 2023. 8. 22. 용해도? 용질? 용매? 용액? 쉽게 이해하기 용질.. 용매? 용액, 용해도... 음....? 저게 무슨 말일 까요 분명 많이 본 말인데... 사실 저 용어들을 달달 외울 필요는 크게 없다고 저는 생각해요. 그런데도 제가 굳이 용해도에 대해서 쓰는 이유는 용해도라는 단어를 외우는 것이 아니라. 용해도가 뭔지 그리고 어떨 때 용해도가 높아지는지가 중요하고 우리가 일상 속에서 많이 쓰고 있어서 가져왔습니다. 어려운 말 저리 멀리 치우고 일단 우리 일상 속에서부터 용해도를 찾아보도록 하죠 우리가 믹스커피를 뜯어서 타먹거나 아이스티가루를 녹여서 타먹을 때 뜨거운 물에 녹이는 게 잘 녹을까요? 차가운 물에 녹이는 게 잘 녹을까요? 우리는 모두 생활경험을 통해서 몸으로 배웠습니다. 뜨거운 물에다가 녹이는 것이 훨씬 빨리 잘 녹죠 이것이 바로 오늘 배울 '용해도.. 2023. 8.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