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서대로 보셔야 이해가 됩니다)
고체 < 액체 < 기체 순으로
'부피'는 커집니다. 그리고 '밀도'는 작아지죠.

(ㅇ..?)
괜찮습니다!
이 글을 다 읽고 나면 저게 무슨 말인지 알 수 있습니다!! 😉
먼저 '부피'는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입니다.
개미와 곰 중 누가 더 크죠?
곰이 훨씬 더 크죠.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네요? 곰이 부피가 큰 겁니다.
끝났습니다.
이번엔 고체, 액체, 기체들의 부피를 보겠습니다.
어떤 게 부피가 가장 크죠?
너
무
쉽
다
똑같은 개수, 종류에 입자들이 더 넓은 공간을 차지할수록 부피가 크겠죠?
가장 큰 공간을 차지하는 건? 기체입니다.
그래서 고체 <액체 <기체 순으로 '부피'가 크다고 한 겁니다.
(당연히 에너지가 가장 많은 기체 입자들이 더 많이 움직입니다. 그러면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죠?)
이번엔 '밀도'를 보겠습니다.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그냥 느낌으로
아까 위에 사진을 똑같은 크기에 원안에 넣었습니다
어떤 게 밀도가 커 보이나요?
'밀도'가 뭔지 배우지도 않았는데 느낌적으로 solid(고체)가 가장 밀도가 커 보이죠?
맞습니다. 고체가 밀도가 큽니다.
있어 보이게 설명하면
밀도는 같은 부피 안에 질량의 크기입니다
(질량은 저번에 설명드렸죠? 알갱이가 얼마나 많이 있느냐)
그래서 이런 공식이 나오죠.
ρ=밀도, V = 부피, M = 질량
쉽게 말하면, 똑같은 크기 안에 얼마나 많이 알갱이가 들어가 있느냐, 얼마나 빽빽하게 있냐! 얼마나 빽빽하냐!
밀도도 끝났습니다.
(다시 위로 가서 처음에 썼던 문장을 읽어보세요)
우리가 지금 배운 것들을 통해서 지금부터 아주 당연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안 배워도 알 수 있는 아주 당연한 이야기)
똑같은 풍선, 똑같은 부피만큼
첫 번째 풍선에는 '공기'를
두 번째 풍선에는 '물'을
세 번째 풍선에는 '돌'을 넣었습니다.
뭐가 가장 무거울까요~
그렇다면 왜 그럴까요?
생
각
해
보
기
'밀도'차이 때문입니다.
당연히 같은 크기 안에 더 많은 입자가 들어가니 당연히 무겁죠.
정리하면,
열에너지가 많을수록 입자들이 활발하게 움직여서 부피는 커지고 밀도는 작아진다.
'물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체가 뭐야? (고체, 액체, 기체) (0) | 2023.07.04 |
---|---|
탄성력 마스터 해버리기 (0) | 2023.06.30 |
무게와 질량 , 만유인력의 법칙 까지 마스터 해버리기 (0) | 2023.06.30 |